조갑제닷컴

  1. 칼럼
사회주의와 악령(惡靈) Freedom 교양 영어 (208):‘Devils’ (Excerpt)-5 인간은 이상(理想)사회를 상상은 할 수 있으나 실현할 수는 없다. 朴承用  |  2023-01-26
One morning news of outrageous and revolting sacrilege spread through town. At the entrance to our enormous market square stands the ancient church of Our Lady’s Nativity, quite a remarkable piece of antiquity in our ancient town. Recently a large icon of the Virgin was placed in the wall behind a grating near the gates of the enclosure. Then one night this icon was stolen, the glass of the case broken, and the grating smashed; several stones and pearls, I don’t know how valuable, were removed from the crown and setting. But the main thing was that in addition to the theft, an incomprehensible and mocking sacrilege was perpetuated: the next morning it was reported a live mouse was found behind the broken glass of the icon.
  
  Now, four months later, it’s positively been established that this crime was committed by the convict Fedka; but for some reason it was also said that Lyamshin had a part in it. No one said anything about Lyamshin at the time, and no one suspected him, but now everyone confirms that it was he who released the mouse. I recall that our authorities were somewhat at a loss. A crowd had been gathering at the scene of the crime since that morning. There was still a crowd, though not a large one, only about a hundred people. Some arrived while others left. The ones who arrived crossed themselves and bowed down to the icon. They made contributions; a collection plate appeared, and with it , a monk. Only around three o’clock in the afternoon did the authorities realize that they could order the people not to stand around in a crowd; after saying their prayers, bowing to the icon, and making a contribution, they were supposed to move along.
  
  This unfortunate incident produced a very gloomy impression on von Lembke. As I was told afterwards, Yulia Mikhailovna said that from that ill-fated morning she’d begun to notice a strange dejection in her spouse which persisted until his departure from town some two months ago due to illness, and which, it seems, afflicts him even now in Switzerland, where he continues to recuperate his brief career in our province.
  
  어느 날 아침에 무도하고 매우 불쾌한 신성모독행위 뉴스가 도시 전체에 퍼져 나갔다. 우리 도시의 거대한 시장광장 입구에는 우리의 古都(고도)에 있는 매우 놀라운 遺物(유물)인 고대의 성모탄생 교회가 서 있다. 최근에 성당 구내 대문 근처의 格子(격자) 창 뒤에 있는 벽 안에 성모 마리아 聖像(성상)이 놓여 있었다. 그 후 어느 날 밤에 이 성모상이 도둑을 당하였고, 성모상 상자의 유리가 깨어져 있었고, 격자는 박살이 나 있었다; 가치를 알 수도 없는 여러 개의 보석과 진주가 寶冠(보관) 세트로부터 사라졌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 도난에 보태서 이해할 수 없고 조롱하는 듯한 신성모독 행위가 영속화되었다는 것이었다: 다음 날 아침에 살아 있는 쥐 한 마리가 깨어진 성상 유리 뒤에서 발견되었다.
  
  4개월이 지난 지금 이 범죄는 流刑囚(유형수) Fedka에 의해서 저질러졌다는 것이 확실하게 밝혀졌다; 그러나 또한 어떤 이유에서인지 Lyamshin이 그 범죄에 가담하였다는 것이 알려졌다. 그 당시에는 아무도 Lyamshin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쥐를 풀어 놓은 것은 바로 Lyamshin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당국이 다소 당황하였었다는 것을 나는 지금 회상한다. 그날 아침 이후로 군중들이 범죄 현장에 모여들고 있었다. 그곳에는 비록 100명 정도로 큰 군중은 아니지만 아직도 군중들이 있었다. 일부는 떠나고 일부는 도착하였다. 도착한 사람들은 십자를 긋고 성상을 향해서 절을 하였다. 그들은 헌금을 하였다; 수금 접시가 나타났고 그와 함께 수도승도 나타났다. 오후 3시경이 되어서여 당국은 사람들이 떼를 지어서 서있지 말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기도를 한 후에 성상에 절을 하고 그리고 헌금을 한 후에 그들은 떠나야 하였다.
  
  이 불행한 사건은 von Lembke에게 대단히 우울한 인상을 낳았다. 후에 내가 들은 바와 같이 Yulia Mikhailovna는 그 불행한 아침부터 그녀는 남편이 2개월 전에 병 때문에 그 도시를 떠날 때까지 그녀의 남편에게 지속된 이상한 우울증 증세를 목격하기 시작 하였고 그 병은 지금도 스위스에 있는 남편에게 타격을 주고 있으며, 남편은 스위스에서 우리 지역에서의 그의 짧은 경력을 회복하기를 계속하고 있다고 말하였다.
  
  * 해설
  
  '惡靈'은 정치적 풍자화이다. Dostoevsky는 주요 인물들을 戱畵的(희화적)으로 그리면서 사회주의와 혁명에 대해서 철학적인 反論(반론)을 펴고 있다. '惡靈'은 인간은 이상사회를 상상은 할 수 있으나 실현할 수는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간은 도덕적으로나 능력에 있어서나 존재론적으로 불완전하기 때문이며 전지전능하고 절대선인 神만이 에덴을 창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神에 의존하지 않고서는 인간은 이상사회를 건설하거나 건설하더라도 유지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런데 神을 배신한 무신론자이며 도덕적 허무주의자들이 사회주의 이상사회 건설을 호언장담하는 것은 신성모독을 넘어 코미디가 된다는 것이 Dostoevsky의 생각이다. 하늘에 계시는 전지전능한 神이 내려다 볼 때는 어린애 장난처럼 웃기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惡靈'에 나오는 사회주의 혁명가들은, 사회주의의 허망한 본질을 꿰뚫어 알고 있는 Stavrogin을 제외하고는, 모두 웃기는 어릿광대라는 것이다.
  
  
  
   Peter피터는 카리스마가 있는 인물로 조직원들의 어리석은 짓과 약점을 재빨리 이용할 줄 안다. 그는 전국적인 거대한 혁명조직을 대표하는 지역책임자인 것처럼 가장하고 다른 조직원들 위에 군림하며 조직을 지배한다. 그의 사회주의는 특이하여서 동지애는 물론 인간에 대한 애정이 거의 없다. 그는 表裏不同(표리부동)하고 정치적 권모술수에 대단히 능하다. 그는 내심으로는 자신의 힘을 과시할 수 있는 정치적 무대를 원하는 폭군이다. Dostoevsky는 Peter를 위협적인 인물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믹한 인물로 묘사하고 있다. Dostoevsky는 간교한 살인자인 Peter에게 어떤 형태로든 영웅적인 지위를 부여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 것 같다.
  
  
  
  Stepan Trofimovich Verkhovesky는 1840년대에 러시아를 광풍처럼 휩쓸었던 서구식 자유주의를 대표하는 지식인이다. 그의 과장되고 과도한 佛語(불어)사용, 그가 러시아 역사를 쓰레기로 간주하는 것, 그의 서구적 낭만주의, 그의 탐미주의, 그의 詩的인 이상주의, 그의 현실감각의 상실―이 모든 것들이 한 세대동안 러시아 정치사상을 지배하였던 특징들이다. 상냥하고 고상한 사람이지만 그는 러시아의 현실로 부터 離反(이반)되어 있고 그의 이런 비현실적 성향은 도덕적 정치적 이중성으로 귀착된다. 그는 인류애를 가르치지만 자신의 아들은 버린다. 그는 농노제도의 폐지를 옹호하지만 자신의 농노인 Fedka를 노름을 해서 잃어버린다. 그래서 아들 Peter의 귀향과 탈옥수 Fedka의 등장은 상징성이 강하다. Dostoevsky는 1840년대 세대가 “자식”들의 과격한 활동(정치적 사회적)을 관대하게 허용하고 있는 것을 고발하고 있는 것이다. 순진하고 분명히 無害(무해)한 이상주의자들의 세대가 괴물들을 증식시킨 것이다. Dostoevsky가 보기에는 1860년대의 “아들들”에 대한 도덕적 책임은 1840년대의 “아버지”들에게 있다는 것이다.
  
  
삼성전자 뉴스룸
  • 글쓴이
  • 비밀번호
  • 비밀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