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갑제닷컴

그래도 한국이 부럽다는 아르헨티나인 bestkorea(회원)  |  2024-04-23
(English version is below.)
  
  지난 40여 년(1983~2024) 동안 짬나는 대로, 짬이 나지 않으면 만들어서라도 세계 배낭여행을 한 결과 꽤 많은 나라를 돌았다. 가장 즐겁고 보람 있고 가치 있는 인생 투자였다. 지구촌 나라들 절반 정도를 돌다 보니 장점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세계여행 중 만나는 외국인들과 인사를 나눠보면 이미 내가 다 가 본 나라들이다. 따라서 당연한 얘기지만 서로의 친밀감은 급상승하여 대화 분위기는 부드러워졌다.
  
  오늘 만난 사람은 독일계 아르헨티나인이다. 파타야 숙소 옆의 공원에서 만났다. 나와 연배가 비슷해 미래에 대한 나라 걱정 등 많은 부분 공감대가 있었다. 그러나 우리의 과거와 현대의 시대 배경은 판이(判異)했다. 나는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한 곳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지금은 세계가 부러워하는 부국(富局) 중 한 곳에 살고 있다. 그는 나와 정반대였다. 그는 유럽의 독일 프랑스보다 잘 사는 부자나라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이탈리아와 아일랜드 등 유럽인들이 3D 업종을 마다치 않고 돈 벌러 달려갔던 나라였다. 그는 그때의 자유롭고 풍요로웠던 시대를 잊지 않고 있었다.
  
  그의 고민이 더 큰 이유였다. 그는 현재 가난이란 고질병(痼疾病)을 앓고 있는 아르헨티나에 살고 있다. 벌써 9번째 국가부도(디폴트)를 선언했고 또 10번째를 할 판이다. IMF 구제금융도 22차례나 받았다. 외채 규모가 GDP의 70% 넘었다. 국민의 40% 이상이 정부 보조금으로 연명하는 절대 빈곤층이다. 최근 물가 상승률은 100%를 넘어 120%를 넘었다. 돈(페소) 가치는 연일 급락했다. 경제 성장률은 2022년까지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이었다.
  
  그는 비통한 표정으로 말을 이었다. 문제는 한번 공짜병(포퓰리즘)에 중독된 아르헨티나국민은 국가 재정(財政)이 어찌 되든, 나라가 망하든 말든 계속 손을 내민다는 것.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좌파 정권이 계속되는 이유라고 했다. 깨어있는 국민은 희망을 접었단다. 수십 년간 지속된 공짜 병의 결과이며 무서운 학습의 효과라고 했다. ‘에비타’에 대한 짙은 향수(享受)만 진동할 뿐이다. 이것이 오늘날 아르헨티나의 현주소라고 했다.
  
  나는 그의 말을 다 들은 뒤 내 이야기를 했다. 나는 아르헨티나를 포함 중남미를 1997년, 2003년, 2019년 총 6개월간 여행했다. 22년 전에 처음 본 아르헨티나와 최근에 본 아르헨티나는 달라진 게 없었다. 은행 앞이나 정부 관사 앞 그리고 도로에서 교통을 막고 냄비 두드리는 시위대도 여전하고, 벽보엔 반미(反美) 구호가 난무하고, 북한 인공기도 심심찮게 보이고, 특히 아침에 도심을 한 바퀴 돌아 보면 공원과 은행, 상가 등의 빌딩 앞 바닥에서 생활하는 노숙자들이 한둘이 아니었다. 참으로 우울하고 긴장되는 분위기였다.
  
  그는 내가 보고 들은 아르헨티나의 경험담을 귀담아들으며 계속 고개를 끄덕였다. 물론 부에노스아이레스를 벗어난 외곽(外廓) 이야기도 했다. 약 5시간 기차를 타고 찾아간 곳 중 하나가 체 게바라의 고향 로사리오였다. 당시 그곳의 조그만 공원에 게바라의 흉상(胸像)이 있었고 관리는커녕 온갖 새똥 등 오물로 뒤덮여있었다. 그때(1997)만 해도 게바라의 존재감은 서구의 소수의 사회주의 추종자들에 한했다.
  
  암튼 그는 게바라 얘기를 듣자마자 불쾌감을 드러냈다. 그 이유를 물었더니 그의 답은 간단했다. 오늘날 아르헨티나를 치유(治癒) 불가의 공짜 병에 빠져들게 한 것도, ‘에바 페론’을 그리워하는 것도 알고 보면 체 게바라의 어설픈 사회공산주의 선전선동에 기인한다는 이유였다. 그의 말에 공감했다. 건물 벽에도, 시위대의 손에도 ‘에비타’의 초상화가 가득 채워져 있었다. 내가 놀란 것은 우연히 칠레 여행객 친구와 함께 시내 유명 레스토랑에서 약 2시간짜리 디너쇼를 본 경험이다. 쇼가 끝난 뒤 무대 장면은 놀라움 그 자체였다. 출연진이 총출동해 ‘돈 크라이 포 미 아르젠티나’를 연주했고 현지인 모두는 경건한 자세로 비장(祕藏)한 목소리로 합창을 했다는 것이다. 뭔가 섬찟한 느낌이었다.
  
  그가 말했다. 한국인들은 행운아라고. 위대한 정치 지도자 덕에 공산주의가 되지 않았고, 오늘날 세계가 부러워하는 성공한 대한민국이 탄생한 것이라고. 아르헨티나에 살고 있는 많은 한국인도 자기 사업을 하는 대단한 한국인들이라고 했다. 그는 죽기 전에 아시아 국가를 꼭 한번 여행을 하고 싶었단다. 약간 무리해서라도 그 소원을 이루고 있다고 했다.
  
  그렇다. 누군가에게는 평생 한 번도, 아니 꿈조차 꿀 수 없는 것이 세계 여행이다. 그는 그 한 번의 꿈을 이루고 감사하는 표정이었다. 그나마 아직 아르헨티나가 완전히 망하거나 공산화가 안 됐다는 증거이다. 연 3천만 명 이상이 세계여행을 떠나는 한국인들, 세계 곳곳에 한국인이 없는 곳이 없다. 그러나 당연한 것으로 치부(置簿)한다. 흔히들 말한다. 아차 하면 大韓民國도 아르헨티나 꼴이 된다고. 그러나 그 말을 실감하는 이는 몇 안 된다. 그들은 현장에서 그 비참한 모습을 직접 본 적이 없으므로. Seeing is Believing!!!
  
  (*2022년 현재, UN, IMF, WB에 의하면 국민 일인당 개인소득이 7000불 이하 국가(개도국)는 140개국이 넘는다. 내 경험에 의하면, 이들 나라에 속하는 국민이 호텔은 물론 YH나 GH에 묵는 여행자를 본 적이 없다. 결국, 세계 여행을 즐기는 나라는 많아야 50~60개국이다. 그것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나라는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 여기에 大韓民國이 포함된다. 기적이 아닐 수 없다.)
  
  People met on my backpacking 200 - Argentina and Populist Politics
  
  I've been traveling throughout the world for the past 40 years (1983-2024) and have visited several nations. It was my most pleasurable, satisfying, and beneficial life investment. There were several advantages to visiting almost half of the world's countries. Foreigners I encountered when traveling throughout the world were from nations I've visited before. As a result, our connection grew, and the talk flowed naturally.
  
  I met an Argentine today. We met in a park near to the Pattaya Hotel. He was my age, so we had a lot of common ground, including concerns about the country's future. However, the backgrounds of our history and present times were not the same. I was born and raised in one of the world's poorest countries, yet today I live in one of the world's wealthiest nations. He was born and grew in Argentina, a wealthy country that was more prosperous than Germany and France in Europe. He did not forget the free and affluent times.
  
  That was his biggest reason for his concern. Currently, he lives in Argentina, which suffers from an incurable disease called poverty. The country is about to declare its 10th default. It has also received 22 bailouts from the IMF. Its foreign debt accounts for more than 70 percent of its GDP. More than 40 percent of its people are in the absolute poor who live on government subsidies. Recently, the inflation rate has exceeded 100 percent and 120 percent. The value of the money (peso) has plummeted day after day. The economic growth rate was negative for three consecutive years until 2022.
  
  He proceeded with a sorrowful expression. The problem was that Argentines, once addicted to free bottles (populists), continued to demand money from their government, regardless of the national economy. He claimed that it was why his country's socialist government, which has been pursuing socialism, remains in power. He stated he had given up hope. He claimed it was the outcome of decades-long populism. He stated that he only felt strong nostalgia for Evita in his homeland.
  
  It was my turn to talk. I spent six months traveling around Central and S. America, including Argentina, in 1997, 2003, and 2019. The first Argentina I saw 22 years ago and the last Argentina I saw were identical. Protesters were still obstructing traffic and pounding on pots at banks, government offices, and on the streets. The posters included anti-American rhetoric and N. Korean flags. When I explored the city center early in the morning, I saw a lot of homeless guys sleeping on the floor in front of buildings including parks, banks, and retail centers.
  
  He listened intently to my account of my time in Argentina. Of course, I discussed the suburbs of Buenos Aires. Rosario, Che Guevara's hometown, was one of the five-hour train rides I took. At the time, a bust of Guevara was in a little park there, and it was filthy and poorly maintained. Guevara was only popular within a tiny group of Western socialists at the time (1997).
  
  Anyway, he despised Guevara. When asked why, he said simply. He said it was Che who had devastated Argentina today. I agreed with him. Evita pictures covered the walls of the Buenos Aires buildings as well as the demonstrators' picket lines. By chance, I with a Cjhilean guy happened to see a two-hour dinner performance serving beef steak and wine at a prominent downtown restaurant. The scene was incredible. The entire cast sang "Don't Cry for Me Argentina," with all of the locals singing solemnly. It was so strange for me.
  
  He added, "Koreans are lucky." Korea had an excellent political leader. Instead of horrific communism, Korea had a prosperous Republic of Korea, which the rest of the world envies today. He said that even many Koreans residing in Argentina are rich. He stated that one of his final dreams was to travel to an Asian nation. He stated that he is currently realizing his desire.
  
  Yes, it is. Someone's travel across the world is something they've never done before, or ever imagined. He was realizing his one desire. It meant that the country has not yet fully crumbled or become communized. Every year, more than 30 million Koreans enjoy unlimited global travel. However, the Koreans take it for granted. It's often said that Korea will be like Argentina. However, just a few people understand this word. Because Koreans have never witnessed the terrible conditions in Argentina firsthand. People only believe what they've witnessed.
  
  (*According to the UN, the IMF, and the WB, more than 140 nations (undeveloped countries) have a per capita income of less than $7,000. In my knowledge, I've never seen a tourist from these nations stay in both YH or GH and motels. After all, only approximately 30 nations allow citizens to freely travel across the world. This includes the Republic of Korea. It cannot help but be a miracle. The issue is that miracles don't endure long.)
  
  Thanks for reading.
  
  
  
  .
  • 골든타임즈 2024-04-26 오전 6:23:00
    전쟁을 대비하는 국군 증감 여부는 현역 군인이 판단 결정하는게 아니라 국방부가 결정한다.

    학생 증가로 필요에 따라 학교를 짓고 교사를 늘리고 줄이는 것은 학생이나 교사가 결정하는게 아니라 교육부가 한다.

    철도나 고속도로가 필요하면 도로공사나 철도청 직원이 집단시위로 결정하는 게 아니라 국토교통부에서 결정 시행한다.

    의사가 더 필요해서 의사를 늘리는 것을 보건복지부가 결정하지 못 하고 어째서 의사들이 좌지우지하는가? 수입이 적어질 것이니, 환자야 죽든말든 병원을 팽개치고 길거리로 나가는 존재가 의사냐 데모꾼이냐?
  • 글쓴이
  • 비밀번호
  • 비밀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