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갑제닷컴

다음 정부는 서울대병원 뒷산의 유해 발굴해야 박선영(진실과화해위 위원장) 페이스북  |  2025-04-08
<1951년 미군이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서울대병원 사건에 가담했던 중대장 이강국으로부터 받은 자필 공술서(진술서).>
  
  진화위(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오늘 의결한 서울대병원 집단학살사건의 진실규명 결정은 생각보다 순조로웠다. 자유민주국가에서 생각의 차이와 다양한 의견표출은 자연스러운 일이므로 토론과정도 참 소중했다. 어쨌든 통과가 되었으니까.
  
  1950년 6월 28일 새벽, 사흘 만에 서울을 점령한 북한인민군은 서울대병원부터 확보했다. 미아리전투를 하면서 북한군도 부상자가 많아 치료가 급했기 때문이다.
  
  북한인민군 43사단의 대좌(대령) 이임철, 문화부중대장 이강국 등 장교 50여 명과 병사들이 서울대병원을 점거했다. 이 과정에서 부상병 100여 명이 병원광장으로 끌려나와 가장 먼저 공개총살당한 사실은 진화위가 처음으로 확인한 사건이다.
  
  800병상만이 아니라 복도까지 꽉 채운 환자들을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닥치는 대로 죽였다. 최소 330, 최대 1천여 구에 달하는 시신을 인민군은 불태우기도 하고 포탄을 던져 산화시키기도 하고 서울대병원 뒷동산에 파묻기도 했다.
  
  이렇게 진화위가 서울대병원의 집단학살사건을 세세히 밝힐 수 있었던 것은 美 극동군사령부 FEC 법무감실의 기록, Korea War Crimes 덕분이다. 미군이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인민군 포로들 중 서울대병원 사건에 가담했던 대좌 이임철, 중대장 이강국 등 50여 명과 성동구의 노동당원 10여 명이 작성한 자필 공술서(진술서)를 받아 현장검증까지 마치는 등 생생하고도 자세한 자료를 남겼다.
  
  종전 후 전범재판소가 열릴 경우 전쟁범죄로 기소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었다. 북한인민군 대좌 이임철 등 북한군은 무훈을 세운 듯 신이 나서 서울대병원 학살사건을 증언했고 중대장 이강국은 서울시의 청년 650명을 강제로 끌어모아 의용군으로 내보냈다.
  
  최초의 제네바협약인 1864년의 '전장에서의 부상자 상태개선에 관한 국제협약'은 어떤 경우에도 '포로, 부상자, 병자, 민간인 등을 보호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가장 오래된 전쟁범죄이자 반인도적 범죄다.
  
  진화위가 시작을 했으니 다음 정부는 이제라도 제대로 된 조사를 해야 한다. 서울대병원 뒷산에 마구잡이로 묻혀있을 유해도 발굴하고, 북한의 책임도 물어야 한다. 기념사업 등 후속조치도 해야 하고.
  
  잘 하겠지?
  역사의 증언을 위해.
  미래세대를 위해.
  Never Again을 위해.
  
  • 글쓴이
  • 비밀번호
  • 비밀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