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갑제닷컴

  1. 칼럼
'미디어 오늘' 보도의 거짓과 왜곡 'MBC 민영화의 모든것'은 '공영방송 MBC'의 탄생 배경을 무시한 기사다. 문무대왕(회원)  |  2024-07-29
7월27일 '미디어 오늘' 윤유경 기자의 보도, 'MBC 민영화의 모든것'은 사실과 다르거나 왜곡된 내용이 많다.
  
  윤유경 기자는 "보수정부 1공영 다민영 기조에서 거론되는 MBC 민영화는 현실성이 있으나, 매각 가능성이 관건이며 시장판단 없는 정치적 어젠다 속 우려도 여전하다"고 보도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이진숙 전 MBC 기획홍보본부장을 방송통신위원장 후보로 지명하면서 또 다시 MBC 민영화가 쟁점 현안으로 거론된다"고 보도하며 MBC 민영화를 둘러싼 쟁점들을 정리했다.
  
  1. 우선 MBC 구조를 뜯어보자. MBC는 공익재단 방송문화진흥회가 대주주이지만 경영은 광고 등 수익사업에 의존하는 주식회사형 공기업이다.(중략)
  
  2. MBC 민영화를 위한 전적들. 그 동안 논의된 내용들은 이렇다. 지역 MBC 광역화 이후 방송문화진흥회가 지방 MBC 매각대금으로 MBC 정수장학회 지분 30%를 국민주 형태로 매각. 현 자산규모에 맞춰 유상증자를 실시하여 신주 발행으로 인수자 공모.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왜곡보도 제재를 축적했다가 방송사 재허가 거부로 자산 매각하고 방송 신규사업자 인수 추진.
  3. MBC 민영화 시나리오들
  4. MBC 매각 가능성은 현실성이 낮다.
  
  기사를 작성한 윤유경 기자는 민간상업방송 MBC가 하루 아침에 갑자기 공영방송으로 탈바꿈을 한 경위와 MBC의 단 2명의 주주 가운데 70%를 소유한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가 누리는 특혜와 30%나 지분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영업이익 배당에서 홀대받고 있는 정수장학회에 대한 차별화를 외면했다. MBC의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는 민법의 적용을 받고 있는 무자본 특수법인으로 출발하여 MBC의 연간 영업이익의 100분의 15를 출연받고있다.(방송문화진흥회법 제13조 2항 명문화). 그러나 30% 주식소유 정수장학회에 대한 별도 규정은 없다. 윤유경 기자는 방송문화진흥회의 이같은 엄청난 특혜조치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지 않고 있다.
  
  민간상업방송 MBC가 공영방송으로 자격이 바뀐 것은 1982년 당시 5공정권의 실력자 허문도가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세칭 '언론통폐합 특별조치'에 따른 것이다. 경영부실의 중앙 신문은 자진 폐간시키고, 지역신문은 1도1사(1道1社) 원칙이었다. 방송은 특수목적 방송(종교방송·교통방송 등)을 제외한 21개 지역 MBC 민간상업방송은 서울 MBC가 주주권을 행사하고 동아방송, 동양방송 등은 허가 취소와 함께 인력은 KBS가 흡수통합하도록 한 것이다. 언론인 해직문제 등도 이때 발생한 것이다. 통신은 연합통신으로 단일화 됐다.
  
  민간상업방송 지역 MBC 21개 사의 주주들은 자진 주식매각 형식으로 지역 MBC가 매입하고 서울 MBC가 지역 MBC의 대주주가 되는 경로를 거쳐서 오늘의 '공영방송 MBC'가 탄생한 것이다.
  
  미디어오늘 기자는 이 같은 '공영방송 MBC'의 탄생 배경을 무시하고 기사를 썼다. 서울 MBC의 주식 가운데 70%를 국가가 환수하고 나머지 30%만 5·16장학회에 남겨준 것이다. 지역 MBC 주주들도 모두 5공정부의 이른바 '언론개혁'에 동참한다는 미명 아래 어쩔 수 없이 소유주식을 강제 매각당한 것이다. 서울 MBC는 자체 자금으로 지역 MBC 주식을 매입한 것이 아니다. 서울 MBC가 매입한 것처럼 꼼수를 통해 변칙적으로 '공영방송 MBC'의 대주주가 되어 지역 MBC에 대한 주주권과 경영진 인사권을 행사하고 있다.
  
  이같은 조치에 불응한 원주 MBC(가톨릭재단)와 부산 MBC. 여수 MBC 등의 소주주들은 아직도 소주주로 남아 있다. 5·6공정권이 지나가고 김영삼 김대중 등 이른바 '민주화운동권 정권'이 들어선 뒤 말로는 '5공 청산'을 외쳤지만 '인적 청산'만 했을 뿐 '제도 청산'은 하지 않고 단물만 빨아 먹으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이 MBC 민영화를 반대하고 있는 것은 '공영방송 MBC'를 그대로 남겨 '애완견 MBC'로 가지고 놀겠다는 얄팍한 말장난에 지나지 않는 것 같다. 포항제철 등 공기업이 민영화되는 시대적 추세에 비추어 볼때 '공영방송 MBC'를 고집하는 것은 시대정신에 역행하는 것이다.
  
  원래의 '민간 상업방송 MBC'로 환원시키는 것은 우리 정치권이 해결해야 할 시대적 책무라고 본다. 그 방법 또한 어려운 것이 아니고 간단하다. 이재명을 비롯한 정청래, 최민희, 박찬대 등 민주당 패거리들이 역사의 흐름을 거스르고 있는 것은 아직도 단물 빨아먹기에 급급한 단죄(斷罪)의 대상이다.
  
  윤유경 기자는 또 '정수장학회'는 박정희의 '정(正)'자와 육영수의 '수(修)'를 따서 '正修奬學會'로 명명하였고 정수장학회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것이라고 썼다. 사실과 다르다. 5공정권이 '5·16장학회'의 자산 70%를 억지로 환수하면서 명칭이 바뀐 것이다. '정수(正修)'는 중국의 고전인 4서3경 가운데 하나인 '大學7章'에 나오는 '정심수기(正心修己)'에서 따온 것이다. 원문은 이렇다('정수장학화와 다이야반지' 90쪽 인용)
  
  "소위수신(所謂修身):이른바 몸을 닦음이, 재정기심(在正其心):그 마음을 바르게 함에 있다. "
  
  바른마음으로 자신을 다스린다는 뜻이다. 정수장학회가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것이란 주장은 문재인 전 대통령이 후보 시절 말한 헛소리다. 거짓말이다. 장학재단은 사라지면 국가에 환수된다. 윤유경 기자의 주장은 좌성향 교수인 성공회대학교의 한홍구 등이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그의 저서 '장물바구니' 등에 자기 마음대로 남긴 뒷골목의 낙서 같은 내용이다.
  
  민주노총의 기관신문으로 출발한 '미디어 오늘'이 방송과 신문의 과거사를 제대로 알고 보도해 주면 좋겠다.
삼성전자 뉴스룸
  • 골든타임즈 2024-07-29 오후 4:37:00
    시끄럽게 떠드는 소리를 속되게 이르는 말, '地方 放送 꺼라'는, 영어로는 "Be quiet in the peanut gallery"다. 학생들이 시끄럽게 떠들 때, 선생님은 이 말을 사용했다. 이 말을 들은 학생들은 조용히 하라는 의미로 알아들었다. 신문ㆍ방송ㆍ인터넷 ㆍ유튜브 등에 기자들이 많은데, 이들이 내뱉는 말들이 가관이다. 거짓말ㆍ가짜 뉴스ㆍ편파 방송ㆍ짜깁기ㆍ편들기ㆍ아부ㆍ비방ㆍ알아서 기기ㆍ욕설 등이 많다. '지방 방송 꺼라.'라는 말을 들어도 싸다.
  • 글쓴이
  • 비밀번호
  • 비밀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