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우두머리혐의자를 업고 부정선음모론을 안고 대선판에 나서는 것은 썩은 새끼줄을 잡고 인수봉을 오르는 것과 같다.'
국민의힘이 최악의 선택을 했다. 3일 전당대회에서 윤석열 편에 서고 부정선거 음모론을 믿는 김문수 후보가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된 것은 선거판을 다시 윤석열 심판 성격으로 만들 것이다. 득표율은 김문수 후보가 56.53%, 한동훈 후보가 43.47%였다.
김문수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및 탄핵사태에서 일관되게 윤석열 편에 섰고 한동훈 후보를 배신자로 공격했던 사람이다. 부정선거 음모론을 버리지 않고 있음을 국힘당 경선과정에서 보여주었다. 이날 대선후보 수락연설에서도 감사원을 통해 선관위를 감사하고 사전투표제를 폐지하겠다고 공언했다.
국민의힘은 김문수를 선택함으로써 다시 한번 윤석열 진영으로 돌아갔다. 헌법재판소가 국민신임배반자로 규정, 파면한 윤석열 비호 후보를 선택함으로써 이번 대선의 본질은 윤석열 對 이재명 리턴 매치가 되고 말았다. 내란우두머리혐의자와 한몸이 된 국민의힘은 이길 논리가 없을 것이다. 지금 이재명 후보의 사법리스크가 극도로 악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란우두머리 혐의자를 편드는 이를 후보로 뽑았으니 이재명을 공격할 명분을 스스로 던지고 말았다. 내란 우두머리 혐의자를 편들면서 허위사실 유포혐의자를 공격하기란 논리적으로 難望하다.
한동훈 후보는 비록 졌지만 잘 싸웠다. 이번 선거를 통해 보수세력이 한동훈이라는 새로운 지도자를 갖게 되었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 윤석열 계엄에 반대하고 부정선거 음모론에 분노하는 합리적 보수는 김문수 후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이들은 다른 선택을 할 가능성이 높다. 보수의 구명정으로 불리는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그의 지지율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국민의힘이 윤석열의 그림자로부터 벗어나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이번 경선 과정에서 안철수와 한동훈 두 사람을 빼고는 윤석열의 비상계엄과 부정선거 음모론에 대해 제대로 반성하는 사람이 없었고 오히려 비호했다. 계엄을 진압하는 데 앞장섰던 한동훈 후보를 배신자로 몰아붙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오늘 전당대회로 보수세력의 대표성을 상실했다. 계엄을 ‘계몽령’으로 옹호했던 음모론적 보수세력의 정당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보수는 헌법을 존중하고 사실을 부인해서는 안 된다. 헌법과 사실이라는 보수의 2大 가치를 부정했던 윤석열 세력이 진정한 반성 없이 이재명만 비판하면서 국민들에게 표를 달라고 하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겠나.
한덕수와의 단일화를 남겨놓고 있지만, 한덕수 역시 윤석열 정부의 2인자였다. 한덕수와 김문수의 단일화에 희망이 없는 이유다. 국힘당 지도부는 사실상 계엄 세력, 윤석열 세력이다. 이재명에겐 가장 만만한 상대다. 이재명은 ‘내란 이상의 사법리스크가 있느냐’고 반격할 것이다. 한동훈이라는 예리한 칼을 버리고 가장 무딘 칼을 선택함으로써 이재명을 공격할 수 없는 처지가 됐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경선 도중 한덕수 권한대행과 접촉하며 출마를 권유하고 단일화를 획책함으로써 自黨이 뽑은 후보를 2부 리그 소속으로 전락시키는 害黨 행위까지 했다. 앞으로 1주일 안에 단일화를 성공시킬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이기기 위해 온갖 추한 행동을 마다하지 않았지만 결국 추하게 지는 결말이 예상된다.
국민의힘은 역사의 흐름을 거스르는 최악의 선택을 함으로써 소멸, 쇠퇴, 또는 分黨의 길로 접어들 것이다. 국민의힘은 윤석열의 그림자로부터 벗어나지 못했다. 윤석열이 상징하는 것은 무도함, 무법성, 주술, 음모론, 알콜중독, 유튜브 중독 등이다. 尹과 한몸이 된 국민의힘은 역사의 낙오자이고, 정당이 아니라 붕당, 패거리 같은 짓을 하고 있다. 오늘의 전당대회는 그들의 바닥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국민의힘이 철저히 망함으로써 보수는 재생의 길을 찾게 될 것이다. 다행히 이번 대선을 통해 건전한 보수세력은 50대 한동훈과 40대 이준석이라는 구명정을 만들어 냈다.